본문 바로가기

운동116

발목인대가 다치면 나타나는 증상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우리가 가장 흔하게 다치는 부위가 바로 발목 입니다. 왜 발목이 다치기 쉬운지, 다친 나의 발목은 병원을 가야하는지, 그리고 가장 중요한 발목인대가 늘어났을때 어떻게 행동해야하는지 알려드립니다. 1. 발목인대는 왜 다치는 걸까? 근육과 뼈를 연결하는 구조물을 건(tendon)이라고 하며 뼈와 뼈를 연결하는 구조물을 인대(ligament)라고 합니다. 우리 몸에서 가장 대표적인 인대는 어깨의 안정성과 관련이 깊은 회전근개(rotate-cuff), 무릎의 십자인대(cruciat ligament) 등이 있습니다. 인대는 뼈와 뼈를 연결해 주며 관절을 고정하고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우리 몸의 인대가 많은 부위 중 하나가 바로 발입니다. 발은 하나의 뼈가 아니라 여러 뼈들이.. 2023. 8. 18.
발목재활운동 순서 붓기빼는 방법 발은 우리 몸의 체중을 지지하고, 걷고 이동하는 동안 몸의 축과 추진력 부위가 되므로 지속적으로 부하를 받는 부위입니다. 서 있는 경우(Standing position) 체형이나 잘못된 자세로도 발목 손상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렇듯 발목은 가장 흔한 부상 중 하나인데,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삔 상태(염좌)에서의 병원에 가지 않고도 관리할수 있는 가장 중요한 재활운동 방법(방향성)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이렇게만 따라하면 누구나 발목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습니다. 1. 발목염좌 발목을 삔상태, 발목의 건염, 골절, 족저근막염, 무지외반증 등 병원치료가 필요한 발목 손상과는 비교되며 우리 일상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부상이다. 이렇게 발목을 삐었을 때는 어떻게 관리해 주면 좋을지에 대해 순서에 따.. 2023. 8. 17.
족저근막염에 가장 효과적인 운동방법 발은 우리가 걷고 움직이는 동안 발에 가해지는 충격과 몸의 체중을 버티기 위해 적절한 유연성이 요구됩니다. 발에는 충격흡수와 유연성 및 발의 기능에 필요한 요구들을 충족하기 위하여 구조물이 존재하는데. 이것이 바로 발의 아치 입니다. 아치는 발의 안쪽과 바깥쪽으로 구분되며 바깥쪽에 비하여 안쪽 아치의 지면으로의 높이가 높은데, 이는 발에 부하되는 체중의 압력을 견디고 충격을 흡수하고 분산시켜 주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아치는 내측 종아치, 외측 종아치 그리고 발을 가로지르는 횡아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발 아치와 족저근막염의 관계 발이 원래의 기능을 잘 수행하려면 아치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해야 합니다. 하지만 선천적인 변형, 발 근육의 약화, 반복적인 사용 등으로 인하여 아치의 높이를 낮.. 2023. 8. 17.
발 앞꿈치 통증 해결방법 발은 우리 몸을 지지하고 체중을 견디고 분산시키며, 걷거나 달릴 때 지면을 밀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심장에서 보내준 혈액을 몸의 윗부분으로 보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2의 심장이라고도 불립니다. 그렇기 때문에 발이 붓거나 통증이 나타나면 몸의 다른 부분의 이상지표가 되기도 하며 발 뒤꿈치 통증, 발바닥 통증, 발목 통증 등 통증이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발통증 하면 흔히 족저근막염이라고 생각하시는데, 족저근막염은 주로 발 뒤꿈치 통증을 호소하는 반면 이와는 대조적으로 발앞꿈치(발등, 발가락부위)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발 앞꿈치 통증의 경우에는 주로 지간신경종인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1. 발 앞꿈치 통증의 원인 발 앞꿈치 통증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주로 지간신경종이 그 원인으로.. 2023. 8.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