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9

관절의 움직임 뼈와 뼈가 만나는 부분을 관절이라고 부르며 이 부분은 관절면이라 합니다. 관절은 수많은 인대와 근육이 지나가면서 안정선과 가동성을 만들며, 이러한 움직임이 일어날 때 관절에서도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것을 관절의 움직임이라 합니다. 1. 어깨의 움직임 어깨의 관절은 상완골과 날개뼈가 ball&soket의 형식으로 관절을 구성하며, 날개뼈의 관절강에 어깨뼈가 맞닿은 구조입니다. 이때 어깨의 안정성을 위해 회전근개, 광배근, 삼각근, 대흉근 등 수많은 근육이 두 뼈를 가로 지르며 관절의 안정성을 만들며 이러한 근육의 수축, 이완, 힘의 균형으로 인해 움직임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팔을 들어올리는 동작은 전면삼각근, 상완근, 흉근들 그리고 광배근의 반대힘 작용 등에 의해 일어나는데 이때 관절면에서도 움직임.. 2023. 12. 1.
근육수축의 종류 우리 몸은 골격(뼈대) 위에 근육이 부착되어 있으며, 몸이 움직이기 위해서는 골격에 붙어있는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하면서 길이가 짧아지고 늘어나면서 신체의 움직임이 일어나게 됩니다. 결국 우리 몸이 움직이는 것은, 근육의 수축-이완과 관련한 것인데요, 이러한 근육의 수축-이완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이 수축-이완한다는 것은 힘을 사용한다는 것인데, 이렇게 힘을 사용하는 방식에는 수축-이완뿐만 아니라 다른 방식들도 있습니다. 오늘은 근육의 수축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등장성 수축 (Isotonic-contraction) 근육의 길이가 변화하면서 힘이나 움직임을 생산하는 방식인데, 여기에는 구심성 수축과 원심성 수축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덤벨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에서 근육의 길이.. 2023. 11. 29.
통증평가척도, VAS 팔이 부러지거나 우리 몸의 염증이 생기는 등의 변화는 엑스레이나 혈액검사와 같은 정형화된 검사를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통증의 경우에는 객관적 검사를 하기 어렵기 때문에 통증의 정도를 표현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의료환경이나 운동팀에서는 내가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표현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었는데, 그 방법이 바로 주관적 통증지표, VAS(visual analogue scale) 입니다. 물론 객관적인 지표는 아니지만, 현재 당사자가 느끼는 통증이 어느 정도 되는지 파악 할수 있습니다. 보통 통증이 없는 0부터 견딜수 없는 통증이 10까지에서 나의 상태를 점수로 정량화하여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의 상태나 치료의 경과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통증의 정도를 정확히 표.. 2023. 11. 29.
허리통증에 효과적인 운동 안녕하세요, 알기 쉬운 운동정보 블로그입니다. 오늘은 허리 통증이 있을 때 운동을 해도 될까? 운동을 한다면 어떤 운동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1. 허리 통증 운동해야 할까? 우리가 살면서 허리 통증은 한국국민 중 10명 중의 9명이 겪는 흔한 통증입니다. 물론 운동이 허리를 보호하고 강하게 만들기 때문에 좋은 것으로 허리운동이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허리운동이 허리통증을 더욱 악화시킬 수 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그럼, 운동을 해야 하는 기준은 어떻게 정해야 할까요? 1) 통증의 정도 의료인이 아닌 일반인이 통증의 정도를 판단하기는 상당히 어렵습니다. 하지만 누구나 쉽게 통증의 정도를 파악하는 쉬운 방법도 있는데요, 그 방법은 주관적인 통증척도 VAS(Vis.. 2023. 11. 28.